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네이버 로그인 하기
- 네이버커머스API
- Uipath 기초
- pywinauto
- selenium
- 네이버매물크롤링
- 파이썬 가상환경 설치방법
- 네이버 로그인 캡챠해결
- uipath 입문
- 네이버 로그인 영수증 해결
- pywinauto 윈도우제어
- 파이썬 환경설정
- 커머스API
- 날짜 정규식
- pywinauto 윈도우
- Uipath 설치방법
- pycdc.exe
- 파이썬 네이버 로그인
- Python
- 왕초보 파이썬 실행
- pycdas.exe
- 파이썬 가상환경 설치
- venv 설치
- UiPath
- Selenium 셀렉터잡기
- 파이썬네이버부동산
- 네이버부동산크롤링
- vscode venv 설치
- Element is not clickable at point
- 가상환경설치
- Today
- Total
목록프로그래밍/git (4)
콘솔워크
우선 프로젝트를 몰아넣고 싶은 빈 프로젝트를 하나 생성하고 github에 연결한다. 그 후 연결되어있는 프로젝트 안에서 아래와 같은 명령어 입력 git subtree add --prefix="이름설정" 주소 브런치명 복사하고자 하는 repository가 최신 상태가 아니면 Working tree has modifications. Cannot add. 오류가 발생하기 때문에 최신화 해둘 것. 로컬에 프로젝트가 복사된 것이 확인되었다면 그대로 git push
현재 로컬 버전과 원격 버전이 동일한 경우 git pull을 사용하면 'Already up to date' 라는 메시지가 나오게 된다. 그 상태에서 코드를 약간 수정하다가 다시 원격에 있는 상태를 그대로 가져오고 싶었던 적이 있었을 때,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사용했다. # 로컬 변경 내용을 stash에 저장 $ git stash # 원격 저장소의 최신 변경 내용 가져오기 $ git pull # stash에 저장한 변경 내용 복원 $ git stash pop stash에 임시로 내용을 저장한 후, git pull 명령어로 원격의 내용을 불러온 것.
기본 조작 # 최초 저장소 만들기 git init # 파일 지정해서 add (스테이징) git add 파일명 # 스테이징 되어있는 파일을 저장소에 저장 git commit -m '남기고 싶은 메시지' git 상태 확인 # 현재 git 상태 확인 git status # 최근 commit과 현재 로컬파일을 비교 git diff # 위의 비교를 시각적으로 표현 git difftool # 두 커밋상태를 비교 git difftool 커밋아이디1 커밋아이디2 # 현재 상황을 그래프 형식으로 보여줌 git log --oneline --all --graph 협업 시 사용 # 해당 이름으로 branch 생성 git branch 브랜치명 # 해당 브랜치로 이동 git switch 브랜치명 # 현재 브랜치와 해당 브랜치 합..

1. 먼저 Github에서 레파지토리를 만든다. 2. 자신이 생성한 소스에서 README.md파일을 만들고 git init부터 시작한다. git 코드 예시) echo "# crwal_naver_posts" >> README.md git init git add README.md git commit -m "first commit" git branch -M main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alalshow/crwal_naver_posts.git git push -u origin main 원격 레파지토리의 이름은 "crwal_naver_posts" 이다. 자신의 원격레파지토리 이름에 맞게 세팅하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