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git
Git 자주 쓰는 명령어만 정리
이휘재123
2022. 9. 8. 15:37
반응형
기본 조작
# 최초 저장소 만들기
git init
# 파일 지정해서 add (스테이징)
git add 파일명
# 스테이징 되어있는 파일을 저장소에 저장
git commit -m '남기고 싶은 메시지'
git 상태 확인
# 현재 git 상태 확인
git status
# 최근 commit과 현재 로컬파일을 비교
git diff
# 위의 비교를 시각적으로 표현
git difftool
# 두 커밋상태를 비교
git difftool 커밋아이디1 커밋아이디2
# 현재 상황을 그래프 형식으로 보여줌
git log --oneline --all --graph
협업 시 사용
# 해당 이름으로 branch 생성
git branch 브랜치명
# 해당 브랜치로 이동
git switch 브랜치명
# 현재 브랜치와 해당 브랜치 합치기 -> 보통 git switch main 으로 이동 후에 메인에 합쳐줌
git merge 브랜치명
# 사용이 완료된 브랜치 삭제
git branch -d 브랜치명
# merge에 사용하지 않은 branch 삭제
git branch -D 브랜치명
파일 단위 복구
# 파일을 가장 최근에 commit한 상태로 되돌려 줌
git restore 파일명
# 지정 아이디 시점으로 파일 복구
git restore --source 커밋아이디 파일명
commit 취소
# 가장 최근 커밋 취소
git revert HEAD
# 해당 커밋아이디의 commit 취소 (복수개 입력 가능)
git revert 커밋아이디1 커밋아이디2 커밋아이디3 ......
# 해당 시점으로 되돌아가버리기 (과거로)
# 협업시에는 사용하지 않는게 좋다.
git reset --hard 커밋아이디
반응형